![이사-전학절차-전학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H06b/btq60h2LUBF/H9NqIljAH8W1TmXYpcdPP0/img.jpg)
이사 시 초·중·고등학생의 전학
필요서류 · 수속 절차
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전학을 하는 경우는 대부분 부모님을 따라 거주지를 옮기는 '이사'일 것입니다.
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이사 시 공과금 정산 및 전입신고 등으로 바쁘겠지만 아이들의 전학 수속 또한 잊으면 안되겠죠?
오늘은 이사 시 초·중·고등학생의 전학 수속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또한 이사 시 공과금 정산 및 전입신고에 대한 체크리스트도 함께 살펴보세요.^^
초등학생
- 필요서류: 취학아동 전입 통지서 (전입신고 시 주민센터에 요청하여 이를 학교에 제출)
① 재학 중인 초등학교에서 할 일: 행정실에 전학 예정 사실을 알립니다.
② 주민센터에서 할 일: 새 거주지의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 시 '취학아동 전입 통지서(전입증)'의 발급을 요청합니다.
③ 전학 가는 초등학교에서 할 일: 발급받은 전입증(또는 주민등록등본)을 전학 가는 학교의 행정실에 제출합니다.
*전입신고는 정부 24 홈페이지(전입신고)에서도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동시에 전학 신청도 함께 처리가 가능합니다.
중학생
- 필요서류: 주민등록등본, 전학용 재학증명서 (해당 교육청에 제출하면 전입신고 시 거주지 관할 교육지원청에서 중학교를 배정)
*중학교 전학의 경우, 관내 전학과 타도시에서의 전학에 따라 전학신청 방법이나 필요서류가 지역별로 다른 경우가 있으니 꼭 해당 학교 또는 교육청에 문의해보셔야 합니다.
고등학생
- 필요서류: 이사한 주소의 주민등록등본 (해당 교육청에 제출하여 학교를 배정받은 후 전학)
*일반 고등학교 재학생의 경우, 거주지가 학군 또는 시·도가 다른 지역에서 이전된 경우에만 전학할 수 있습니다.
*새 거주지의 학군에 소재하는 학교에 결원이 없는 경우, 인근 학군에 소재하는 학교에 결원이 있고 본인이 원하면 인근 학군에 소재하는 학교로 전학할 수 있습니다.
*일반 고등학교 재학생의 전학절차와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 및 특성화고, 특목고, 자사고 등의 전학절차와 방법은 각 시·도 교육청에 문의하거나 해당 교육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아이들의 전학 절차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.
초·중·고마다 필요한 절차나 서류가 조금씩 달라서 미리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또한 지역별로 관내 이사와 타 지역 이사에 대해 요구하는 사항도 다를 수 있으니 이사 전 미리 해당 학교 또는 교육청에 연락하여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'쌀소보루의 알쓸신잡 > 정보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병역특례업체 신청 (+신청 기간·방법· 자격, 업체선정 배점, 구비서류,지원 혜택) (0) | 2021.06.11 |
---|---|
7월 거리두기 개편안 (+5인이상 모임 금지 3주 연장, 스포츠 관중수, 유흥시설 이용) (0) | 2021.06.11 |
대체공휴일 확대법 본격 논의 (+통과 시 8월 광복절부터 적용) (0) | 2021.06.09 |
이사할 때 공과금 정산하기 (+전기요금, 도시가스 요금, 관리비, 전입신고·확정일자, 주소변경) 체크리스트! (0) | 2021.06.09 |
세관통관 조회방법 +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방법 (+해외직구 이용 시 조회방법, 관부가세 계산기) (0) | 2021.06.09 |
댓글